아리수

옛 도읍지와 문화재

well 2008. 9. 9. 09:21

제가요 지금 학교 컴퓨터 실이에요.

지금 우리 샘께서 옛 도읍지와 문화재를 우리 컴퓨터에서 찾으래요.

정말 뭐가뭔지 모르겠어요. 제가 제일 싫어하는 교과서가 사회거든요.

그래서그런데 옛 도읍지와 문화재의  사진과 내용 좀 부탁합니다
--답변-

* 아래의 각 명칭을 클릭하시면 그 문화재에 대한 설명과 사진을 볼 수 있어요 ^^


1. 고구려

- 졸본성

고구려시대의 첫도읍지

부여에서 내려온 고주몽은 졸본지역에 정착하여 근거지를 확보하였다.

지금의 만주 환인 북쪽에 있는 오녀산성이라고 한다.


- 국내성

고구려의 두 번째 도읍지

지금의 중국의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통구성이라고 한다.

고주몽의 아들 유리왕이 도읍을 옮겨왔다.


- 평양성

평양시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세번째 도읍지

고구려의 제 20대왕인 장수왕이 국내성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였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205호  중원고구려비
(中原高句麗碑) 
  충북  충주시   충주시
 
2  보물  제642호  성석편
(城石片)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
 
3  사적  제400호  충주장미산성
(忠州薔薇山城)    충북  충주시   충주시
 
4  사적  제403호  포천반월성지
(抱川半月城址)    경기  포천시   포천시



2. 백제

- 위례성

백제의 첫번재 도읍지

지금의 서울시이다.

위례라는 명칭은 한성시대 백제의 도성이었던 위례성을 의미한다.

그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한강을 가리키는 아리수·욱리하의 ‘아리’·‘욱리’에서 기원하였다.

고주몽의 아들 비류와 온조가 남쪽으로 내려와서 건국한 근거지이다.


- 웅진성

백제의 두번째 도읍지

지금의 공주시이다.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이다.

고구려의 침략으로 한강 유역의 위례성에서 밀려나 수도를 웅진으로 옮겼다.


- 사비성

백제의 세번째 도읍지

지금의 부여군이다.

백제 성왕 16년(538)에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면서 웅진에서 천도한 백제의 수도이다.

현재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일대 이며,

유적으로는 부소산성, 낙화암, 정림사지 석탑등이 있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9호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충남  부여군   부여군
 
2  국보  제11호  미륵사지석탑
(彌勒寺址石塔) 
  전북  익산시   익산시
 
3  국보  제84호  서산마애삼존불상
(瑞山磨崖三尊佛像) 
  충남  서산시   서산시
 
4  국보  제128호  금동관음보살입상
(金銅觀音菩薩立像)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
 
5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상
(金銅菩薩三尊像)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6  국보  제154호  금제관식<왕>
(金製冠飾<王>)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7  국보  제155호  금제관식<왕비>
(金製冠飾<王妃>)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8  국보  제156호  금제심엽형이식<왕>
(金製心葉形耳飾<王>)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9  국보  제157호  금제수식부이식<왕비>
(金製垂飾附耳飾<王妃>)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0  국보  제158호  금제경식<왕비>
(金製頸飾<王妃>)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1  국보  제159호  금제뒤꽂이<왕>
(金製뒤꽂이<王>)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2  국보  제160호  은제팔찌<왕비>
(銀製팔찌<王妃>)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3  국보  제161호  청동신수경
(靑銅神獸鏡)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4  국보
제161-1호  청동신수경
(淸銅神獸鏡)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5  국보
제161-2호  의자손수대경
(宜子孫獸帶鏡)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6  국보
제161-3호  수대경
(獸帶鏡)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7  국보  제162호  석수
(石獸)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8  국보  제163호  지석
(誌石)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9  국보  제164호  두침
(頭枕)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0  국보  제165호  족좌<왕>
(足座<王>)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1  국보  제247호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2  국보  제287호  부여능산리출토백제금동대향로
(扶餘陵山里出土百濟金銅大香盧)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
 
23  국보  제288호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
(百濟昌王銘石造舍利龕)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
 
24  국보  제295호  나주신촌리고분출토금동관
(羅州新村里古墳出土金銅冠)    광주  북구   국립중앙박물관
 
25  보물  제45호  익산연동리석불좌상
(益山蓮洞里石佛坐像) 
  전북  익산시   익산시
 
26  보물  제148호  공주중동석조
(公州中洞石槽)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7  보물  제149호  공주반죽동석조
(公州班竹洞石槽)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8  보물  제194호  부여석조
(扶餘石槽)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
 
29  보물  제343호  문양전
(文樣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30  보물
제343-1호  산수문전
(山水文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3. 신라

- 서라벌(금성)

신라의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수도이다.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 자리에 있었다.

‘서울’이라는 말이 ‘서라벌’에서 왔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3호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2  국보  제30호  분황사석탑
(芬皇寺石塔) 
  경북  경주시   분황사
 
3  국보  제31호  경주첨성대
(慶州瞻星臺) 
  경북  경주시   경주시
 
4  국보  제33호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
(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경남  창녕군   창녕군
 
5  국보  제87호  금관총금관
(金冠塚金冠)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6  국보  제88호  금관총과대및요패
(金冠塚銙帶및腰佩)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7  국보  제90호  금제태환이식
(金製太環耳飾)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8  국보  제91호  도제기마인물상
(陶製騎馬人物像)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9  국보  제147호  울주천전리각석
(蔚州川前里刻石) 
  울산  울주군   울주군
 
10  국보  제183호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대구  수성구   국립대구박물관
11  국보  제184호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대구  수성구   국립대구박물관
 
12  국보  제188호  천마총금관
(天馬塚金冠)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3  국보  제189호  금모<천마총>
(金帽<天馬塚>)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4  국보  제190호  금제과대및요패<천마총>
(金製銙帶및腰佩<天馬塚>)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5  국보  제191호  금관및수하식<98호북분>
(金冠및垂下飾<九十八號北墳>)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6  국보  제192호  금제과대및요패<98호북분>
(金製銙帶및腰佩<九十八號北墳>)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7  국보  제193호  유리제병및배<98호남분>
(琉璃製甁및杯<九十八號南墳>)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8  국보  제194호  금제경식<98호남분>
(金製頸飾<九十八號南墳>)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9  국보  제195호  토우장식장경호
(土偶裝飾長頸壺)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20  국보  제198호  단양신라적성비
(丹陽新羅赤城碑) 
  충북  단양군   단양군



왕은 수도를 동경에서 상경으로 옮겼다.



4. 고려

- 개경

고려의 수도이다.

지금의 북한에 있는 개성직할시이다.

고려 태조 왕건이 왕위에 오른 이듬해(919) 이곳에 궁궐을 새로 지어 도읍지로 정했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7호  봉선홍경사사적갈비
(奉先弘慶寺事蹟碣碑)    충남  천안시   천안시
 
2  국보  제15호  봉정사극락전
(鳳停寺極樂殿) 
  경북  안동시   봉정사
 
3  국보  제18호  부석사무량수전
(浮石寺無量壽殿) 
  경북  영주시   부석사
 
4  국보  제19호  부석사조사당
(浮石寺祖師堂) 
  경북  영주시   부석사
 
5  국보  제32호  해인사대장경판
(海印寺大藏經板) 
  경남  합천군   해인사
 
6  국보  제41호  용두사지철당간
(龍頭寺址鐵幢竿)    충북  청주시   청주시
 
7  국보  제43호  고려고종제서
(高麗高宗制書)    전남  순천시   송광사
 
8  국보  제45호  부석사소조여래좌상
(浮石寺塑造如來坐像) 
  경북  영주시   부석사
 
9  국보  제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
(浮石寺祖師堂壁畵)    경북  영주시   부석사
 
10  국보  제48호  월정사팔각구층석탑
(月精寺八角九層石塔) 
  강원  평창군   월정사



7. 조선

- 한양

조선 시대 도읍지이다.

지금의 서울특별시이다.

이성계가 남경길지론에 따라 수도를 이곳으로 정하였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1호  서울숭례문
(서울崇禮門) 
  서울  중구   중구
 
2  국보  제2호  원각사지십층석탑
(圓覺寺址十層石塔)    서울  종로구   종로구
 
3  국보  제13호  무위사극락전
(無爲寺極樂殿) 
  전남  강진군   무위사
 
4  국보  제14호  은해사거조암영산전
(銀海寺居祖庵靈山殿) 
  경북  영천시   은해사
 
5  국보  제50호  도갑사해탈문
(道岬寺解脫門) 
  전남  영암군   도갑사
 
6  국보  제52호  해인사장경판전
(海印寺藏經板殿) 
  경남  합천군   해인사
 
7  국보  제55호  법주사팔상전
(法住寺捌相殿) 
  충북  보은군   법주사
 
8  국보  제56호  송광사국사전
(松廣寺國師殿) 
  전남  순천시   송광사
 
9  국보  제62호  금산사미륵전
(金山寺彌勒殿) 
  전북  김제시   금산사
 
10  국보  제67호  화엄사각황전
(華嚴寺覺皇殿) 
  전남  구례군   화엄사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40199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82%AC%EB%B9%84_(%EC%A7%80%EB%AA%85)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60551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57773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60527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76032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9B%85%EC%A7%84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72437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84%9C%EB%9D%BC%EB%B2%8C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83128&v=46

출처 : http://handic.empas.com/dicsearch/view.html?i=2660&o=2

출처 : http://jikimi.cha.go.kr/newinfo/index.action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D%95%9C%EC%96%91

신고

의견 1

그 외 답변들 8
받은 추천순 | 최신순

re: 옛 도읍지와 문화재
jamdria 답변채택률  0.0%
2008.09.08 11:52  
1. 고구려

- 졸본성

고구려시대의 첫도읍지

부여에서 내려온 고주몽은 졸본지역에 정착하여 근거지를 확보하였다.

지금의 만주 환인 북쪽에 있는 오녀산성이라고 한다.


- 국내성

고구려의 두 번째 도읍지

지금의 중국의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통구성이라고 한다.

고주몽의 아들 유리왕이 도읍을 옮겨왔다.


- 평양성

평양시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세번째 도읍지

고구려의 제 20대왕인 장수왕이 국내성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였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205호  중원고구려비
(中原高句麗碑) 
  충북  충주시   충주시
 
2  보물  제642호  성석편
(城石片)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
 
3  사적  제400호  충주장미산성
(忠州薔薇山城)    충북  충주시   충주시
 
4  사적  제403호  포천반월성지
(抱川半月城址)    경기  포천시   포천시



2. 백제

- 위례성

백제의 첫번재 도읍지

지금의 서울시이다.

위례라는 명칭은 한성시대 백제의 도성이었던 위례성을 의미한다.

그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한강을 가리키는 아리수·욱리하의 ‘아리’·‘욱리’에서 기원하였다.

고주몽의 아들 비류와 온조가 남쪽으로 내려와서 건국한 근거지이다.


- 웅진성

백제의 두번째 도읍지

지금의 공주시이다.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이다.

고구려의 침략으로 한강 유역의 위례성에서 밀려나 수도를 웅진으로 옮겼다.


- 사비성

백제의 세번째 도읍지

지금의 부여군이다.

백제 성왕 16년(538)에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면서 웅진에서 천도한 백제의 수도이다.

현재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일대 이며,

유적으로는 부소산성, 낙화암, 정림사지 석탑등이 있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9호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충남  부여군   부여군
 
2  국보  제11호  미륵사지석탑
(彌勒寺址石塔) 
  전북  익산시   익산시
 
3  국보  제84호  서산마애삼존불상
(瑞山磨崖三尊佛像) 
  충남  서산시   서산시
 
4  국보  제128호  금동관음보살입상
(金銅觀音菩薩立像)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
 
5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상
(金銅菩薩三尊像)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6  국보  제154호  금제관식<왕>
(金製冠飾<王>)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7  국보  제155호  금제관식<왕비>
(金製冠飾<王妃>)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8  국보  제156호  금제심엽형이식<왕>
(金製心葉形耳飾<王>)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9  국보  제157호  금제수식부이식<왕비>
(金製垂飾附耳飾<王妃>)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0  국보  제158호  금제경식<왕비>
(金製頸飾<王妃>)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1  국보  제159호  금제뒤꽂이<왕>
(金製뒤꽂이<王>)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2  국보  제160호  은제팔찌<왕비>
(銀製팔찌<王妃>)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3  국보  제161호  청동신수경
(靑銅神獸鏡)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4  국보
제161-1호  청동신수경
(淸銅神獸鏡)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5  국보
제161-2호  의자손수대경
(宜子孫獸帶鏡)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6  국보
제161-3호  수대경
(獸帶鏡)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7  국보  제162호  석수
(石獸)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8  국보  제163호  지석
(誌石)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19  국보  제164호  두침
(頭枕)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0  국보  제165호  족좌<왕>
(足座<王>)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1  국보  제247호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2  국보  제287호  부여능산리출토백제금동대향로
(扶餘陵山里出土百濟金銅大香盧)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
 
23  국보  제288호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
(百濟昌王銘石造舍利龕)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
 
24  국보  제295호  나주신촌리고분출토금동관
(羅州新村里古墳出土金銅冠)    광주  북구   국립중앙박물관
 
25  보물  제45호  익산연동리석불좌상
(益山蓮洞里石佛坐像) 
  전북  익산시   익산시
 
26  보물  제148호  공주중동석조
(公州中洞石槽)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7  보물  제149호  공주반죽동석조
(公州班竹洞石槽)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
 
28  보물  제194호  부여석조
(扶餘石槽)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
 
29  보물  제343호  문양전
(文樣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30  보물
제343-1호  산수문전
(山水文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3. 신라

- 서라벌(금성)

신라의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수도이다.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 자리에 있었다.

‘서울’이라는 말이 ‘서라벌’에서 왔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3호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2  국보  제30호  분황사석탑
(芬皇寺石塔) 
  경북  경주시   분황사
 
3  국보  제31호  경주첨성대
(慶州瞻星臺) 
  경북  경주시   경주시
 
4  국보  제33호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
(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경남  창녕군   창녕군
 
5  국보  제87호  금관총금관
(金冠塚金冠)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6  국보  제88호  금관총과대및요패
(金冠塚銙帶및腰佩)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7  국보  제90호  금제태환이식
(金製太環耳飾)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8  국보  제91호  도제기마인물상
(陶製騎馬人物像)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9  국보  제147호  울주천전리각석
(蔚州川前里刻石) 
  울산  울주군   울주군
 
10  국보  제183호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대구  수성구   국립대구박물관
11  국보  제184호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대구  수성구   국립대구박물관
 
12  국보  제188호  천마총금관
(天馬塚金冠)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3  국보  제189호  금모<천마총>
(金帽<天馬塚>)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4  국보  제190호  금제과대및요패<천마총>
(金製銙帶및腰佩<天馬塚>)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5  국보  제191호  금관및수하식<98호북분>
(金冠및垂下飾<九十八號北墳>)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6  국보  제192호  금제과대및요패<98호북분>
(金製銙帶및腰佩<九十八號北墳>)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7  국보  제193호  유리제병및배<98호남분>
(琉璃製甁및杯<九十八號南墳>)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8  국보  제194호  금제경식<98호남분>
(金製頸飾<九十八號南墳>)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19  국보  제195호  토우장식장경호
(土偶裝飾長頸壺)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20  국보  제198호  단양신라적성비
(丹陽新羅赤城碑) 
  충북  단양군   단양군



왕은 수도를 동경에서 상경으로 옮겼다.



4. 고려

- 개경

고려의 수도이다.

지금의 북한에 있는 개성직할시이다.

고려 태조 왕건이 왕위에 오른 이듬해(919) 이곳에 궁궐을 새로 지어 도읍지로 정했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7호  봉선홍경사사적갈비
(奉先弘慶寺事蹟碣碑)    충남  천안시   천안시
 
2  국보  제15호  봉정사극락전
(鳳停寺極樂殿) 
  경북  안동시   봉정사
 
3  국보  제18호  부석사무량수전
(浮石寺無量壽殿) 
  경북  영주시   부석사
 
4  국보  제19호  부석사조사당
(浮石寺祖師堂) 
  경북  영주시   부석사
 
5  국보  제32호  해인사대장경판
(海印寺大藏經板) 
  경남  합천군   해인사
 
6  국보  제41호  용두사지철당간
(龍頭寺址鐵幢竿)    충북  청주시   청주시
 
7  국보  제43호  고려고종제서
(高麗高宗制書)    전남  순천시   송광사
 
8  국보  제45호  부석사소조여래좌상
(浮石寺塑造如來坐像) 
  경북  영주시   부석사
 
9  국보  제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
(浮石寺祖師堂壁畵)    경북  영주시   부석사
 
10  국보  제48호  월정사팔각구층석탑
(月精寺八角九層石塔) 
  강원  평창군   월정사



7. 조선

- 한양

조선 시대 도읍지이다.

지금의 서울특별시이다.

이성계가 남경길지론에 따라 수도를 이곳으로 정하였다.


연번  종목  명칭  매체  소재지  관리자
 
1  국보  제1호  서울숭례문
(서울崇禮門) 
  서울  중구   중구
 
2  국보  제2호  원각사지십층석탑
(圓覺寺址十層石塔)    서울  종로구   종로구
 
3  국보  제13호  무위사극락전
(無爲寺極樂殿) 
  전남  강진군   무위사
 
4  국보  제14호  은해사거조암영산전
(銀海寺居祖庵靈山殿) 
  경북  영천시   은해사
 
5  국보  제50호  도갑사해탈문
(道岬寺解脫門) 
  전남  영암군   도갑사
 
6  국보  제52호  해인사장경판전
(海印寺藏經板殿) 
  경남  합천군   해인사
 
7  국보  제55호  법주사팔상전
(法住寺捌相殿) 
  충북  보은군   법주사
 
8  국보  제56호  송광사국사전
(松廣寺國師殿) 
  전남  순천시   송광사
 
9  국보  제62호  금산사미륵전
(金山寺彌勒殿) 
  전북  김제시   금산사
 
10  국보  제67호  화엄사각황전
(華嚴寺覺皇殿) 
  전남  구례군   화엄사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40199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82%AC%EB%B9%84_(%EC%A7%80%EB%AA%85)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60551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57773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60527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76032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9B%85%EC%A7%84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72437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84%9C%EB%9D%BC%EB%B2%8C

출처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83128&v=46

출처 : http://handic.empas.com/dicsearch/view.html?i=2660&o=2

출처 : http://jikimi.cha.go.kr/newinfo/index.action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D%95%9C%EC%9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