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수 정수기문의

좋은글소개- 동의보감에 나온 좋은물

물이라고 해서 다같은 물이 아니다. 병을 치료하는 데 쓰는 물은 맑은
샘물이 좋으며, 한곳에 고여 있어서 더러워지고 흐리며 미직느한 물을 쓰면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람에게 해로우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물을 먹기에 따라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한다.
먹기좋은 물이란 어떤 것일까 ?


동의보감 에서는 물의 종류에 대해서 서른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 하고 있다
이러한 물의 분류는 어디까지나 그 시대에 맞게 한 것이므로 자연이 많이
오염된 지금에 와서 그대로 따르기네는 무리가 있지만,
그 중 도움이 되는 물의 종류와 효능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정화수(井華水)
-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 물.
입냄세를 없애며 대소변이 잘 통하게 한다.

한천수(寒泉水)
- 참 샘물로서 맑고 깨끗한 샘물.
소갈을 업개고 대소변이 잘 통하게 한다.

벽해수(碧海水)
- 짠 바닷물로서 풍기(風氣)를 없애고 피부의 옴을 치료한다.

감란수(甘欄水)
-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샌긴 물로서 곽란을 치료한다.

온천(溫泉)
- 더움 샘물로서 근골(筋骨)에 경련이 오고 피부가 뻣뻣하며
손발에 마디가 오는 사람이 목욕을 하면 좋다.

냉천(冷泉)
- 맛이 떫고 찬 물로서 편두통땨나 등골이 싸늘할 때,
화가 속으로 몰리면서 오한이 날 때 이 물에 목욕하면 곧 낫는다.

생숙탕(生熟湯)
- 끓는 물에 찬물을 탄 것 으로서 볶은 소금을 타서 1~2되 마시면
음식에 체한것과 식중독으로 인해 곽란이 되려고 하던 것도
토하면서 낫는다.

열탕(熱湯)
- 덥게 끓인 물로서, 곽란으로 팔다리에 쥐가 나는 데 쓴다.